맨위로가기

밀양 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밀양 김씨(密陽 金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입니다.
시조 및 유래:밀양 김씨의 시조는 김승조(金承祖)이며, 호는 홍의재(弘毅齋)입니다. 김승조는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인 대안군 김은열(金殷說)의 13세손으로, 고려 시대에 사직(司直)을 지냈습니다. 1272년(고려 원종 13년) 김방경의 막하장(幕下將)으로 삼별초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밀성군(密城君, 밀성은 밀양의 옛 지명)에 봉해졌습니다. 이에 후손들이 경상북도 경주에서 분적(分籍)하여 경상남도 밀양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습니다.
주요 인물:


  • 김혁(金赫): 시조 김승조의 아들로, 별좌(別坐)를 거쳐 찬성사(贊成事)에 올랐습니다.
  • 김희천(金禧天): 김혁의 아들로, 검열(檢閱)·판관(判官) 등을 거쳐 병부사(兵部事)에 올랐습니다.
  • 김광석(金廣碩): 조선 태종 때 통정대부(通政大夫)로 밀양부사(密陽府使)를 지냈으며, 평안남도 순천 및 개천파(介川派)와 함경북도 경원파(慶源派)의 파조(派祖)가 되었습니다.
  • 김견(金堅): 선조 때 선전관(宣傳官)·주부(主簿)를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의 휘하로 들어가 당항포 전투에서 공을 세웠습니다.
  • 김홍발(金弘發), 김경발(金景發) 형제: 인조 때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을 거쳐 군기시첨정(軍器寺僉正)을 지냈으며, 진무일등공신(振武一等功臣)에 올랐습니다.

본관:밀양 김씨의 본관인 밀양(密陽)은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 일원을 가리킵니다.
인구:2015년 통계에 따르면 밀양 김씨는 9,200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밀양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밀양 김씨 시조 김승조 영정
밀양 김씨 시조 김승조 영정
관향경상남도 밀양시
시조김승조(金承祖)
원시조김알지(金閼智)
년도2015
인구9,200명
주요 인물
인물김혁, 김희천, 김광석, 김봉욱, 김태일, 김성진, 김종환, 김동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